참조스타일2 [엑셀함수_A] ADDRESS함수, 행/열 번호로 셀 주소를 반환 ADDRESS 함수? 수식에 행 서수(숫자)와 열 서수(숫자)를 넣어주면 해당 셀 주소의 행렬을 텍스트로 반환하여주는 함수 Address는 말 그대로 주소라는 뜻. 입력한 데이터에 해당하는 셀의 위치 곧, 주소를 반환하여 주는 함수이다. 함수 인수 구성 Row_num(필수) - 참조할 셀의 행 번호이다. 세로열 번호를 입력하는 공간이다. Column_num(필수) - 참조할 셀의 열 번호이다. 가로열 번호를 입력하는 공간이다. Abs_num(선택) - Absolute number의 줄임말. 해석하면 절대값인데 여기서는 절대참조를 의미한다. 예를들어 셀의 주소가 A5라면, 절대참조 값은 $A$5이다. 이 3번째 인수는 셀의 주소를 반환할 때 상대참조로 할지, 절대참조로 할지, 혼합참조로 할지를 묻는 공간이.. 2024. 1. 1. [엑셀 기능] A1 스타일, R1C1 참조 스타일에 대하여 엑셀에서는 참조 스타일이 2가지가 있다. 참조라는 것은 함수식을 작성할 때 인용하게 되는 셀 또는 셀의 범위를 말하는데, A1 참조 스타일, R1C1 참조 스타일이 있다. A1 참조 스타일 예를 들어 그림과 같이 셀을 참조할 때 한 칸의 셀은 A1, 범위의 셀을 참조할 때는 A1:A3 이렇게 표현되는 것이 우리에게는 매우 익숙하다. 이렇게 우리에게 익숙한 스타일을 A1 스타일이라고 하는데, 이 참조 스타일은 엑셀을 처음 설치할 때부터 세팅되는 스타일로서 가장 기본이 되는 스타일이다. R1C1 스타일 유래 1982년에 로터스 소프트웨어라는 곳에서 Lotus 1-2-3 라는 프로그램을 출시했다. 개발자는 비지칼크의 개발에 참여한 바 있던 미치 케이퍼(Mitch Kapor)이다. 윈도우에 엑셀을 이식하기 전 .. 2023. 12. 2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