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대참조2 [엑셀함수_A] ADDRESS함수, 행/열 번호로 셀 주소를 반환 ADDRESS 함수? 수식에 행 서수(숫자)와 열 서수(숫자)를 넣어주면 해당 셀 주소의 행렬을 텍스트로 반환하여주는 함수 Address는 말 그대로 주소라는 뜻. 입력한 데이터에 해당하는 셀의 위치 곧, 주소를 반환하여 주는 함수이다. 함수 인수 구성 Row_num(필수) - 참조할 셀의 행 번호이다. 세로열 번호를 입력하는 공간이다. Column_num(필수) - 참조할 셀의 열 번호이다. 가로열 번호를 입력하는 공간이다. Abs_num(선택) - Absolute number의 줄임말. 해석하면 절대값인데 여기서는 절대참조를 의미한다. 예를들어 셀의 주소가 A5라면, 절대참조 값은 $A$5이다. 이 3번째 인수는 셀의 주소를 반환할 때 상대참조로 할지, 절대참조로 할지, 혼합참조로 할지를 묻는 공간이.. 2024. 1. 1. 엑셀 $ 의미, 절대참조 상대참조 혼합참조 고정 기능 활용 방법 $ 기호의 의미 엑셀의 기본 단위. 각 한 칸을 셀이라고 부른다. 각 셀에는 열과 행이 포함되어 있는데 A, B, C, D로 시작하는 줄이 열(Column)이고, 1,2,3,4로 시작하는 줄이 행( Row)이다. 그래서 A1은 1행 A열 이라는 뜻이다. $ 얘기는 안 나오고 셀 이야기 하는 것은 셀이 $기능을 사용하기 전에 가장 기초 개념이기 때문이다. 엑셀에서 셀은 기본적으로 '상대 참조'라고 이야기를 한다. 예를 들어보면, 왼쪽 그림에서는 A2+B2 수식을 넣었다. C2 수식을 C4로 복사해서 넣었더니 A4+B4로 아래로 2칸이 내려온 곳의 셀을 더하는 식이 완성됐다. 이렇게 기본 상태 수식을 복사 이동시키면 복사한 곳의 위치에 대응하여 인수들도 같이 이동되는 것을 '상대 참조'라고 한다. 그러면 이.. 2023. 12. 27. 이전 1 다음